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구례 화엄사

사찰

by 난 그림자 2017. 3. 1. 04:34

본문

화엄사의 현존 건물은 각성이 중건한 17세기 이후의 것이다. ‘지리산화엄사’라는 편액이 걸린 일주문을 지나면, 좌우에 금강역사() 및 문수()·보현()의 동자상()을 안치한 금강문()이 있다. 그 바로 뒤에는 제3문인 천왕문()이 있는데, 전면 3칸의 맞배집으로 목각 사천왕상()을 안치하였다.

천왕문에서 약 50m 거리에 강당으로 사용되는 정면 7칸의 보제루()가 종루()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곳을 지나면 화엄사의 중요한 당우들이 있다. 동서 쌍탑()의 정면에는 대웅전, 그 서쪽에는 각황전이 있으며, 이 밖에도 영산전(殿)·나한전(殿)·원통전(殿)·명부전(殿)과 노전(殿)으로 사용되는 삼전(殿) 및 요사()인 원융료()·청풍당()·만월전(滿殿) 등이 있다.

이 중 보물 제299호인 구례 화엄사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건물로서 조선 중기에 조성된 삼신()의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1757년에 제작된 보물 제1363호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殿 )이 있다. 또한, 국보 제67호인 구례 화엄사 각황전은 정면 7칸, 측면 5칸의 2층 팔작지붕으로 그 건축수법이 뛰어나다. 각황전 내부에는 3여래불상과 4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보제루()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절에는 각황전 앞 석등()과 사사자 삼층석탑( )·노주()·동서오층석탑(西)·석경 등의 중요한 유물이 전해 오고 있다. 국보 제12호인 각황전 앞의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보이는 높이 6.36m나 되는 거대한 석등은 8각의 하대석()이 병() 모양의 간석(竿)을 받치고 있고, 중간에 띠를 둘러 꽃무늬를 연이어 새긴 것으로 현존하는 국내 석등 중에서 가장 큰 것이며 통일신라시대의 웅건한 조각미를 간직한 대표적 작품이다.

또한, 각황전 서남쪽의 높은 대상()에는 국보 제35호인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과 석등이 있다. 이 석탑의 사방에는 머리로 석탑을 받치고 있는 네 마리의 사자와, 그 중앙에 합장을 한 채 머리로 탑을 받이고 서 있는 승상()이 있다. 이는 연기조사의 어머니인 비구니의 모습이라고 전하며, 석탑 바로 앞 석등의 아래쪽에도 꿇어앉은 한 승상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불탑을 머리에 이고 서 있는 어머니에게 효성이 지극한 연기조사가 석등을 머리에 이고 차공양을 올리는 모습이라고 한다.

이들 석탑과 석등은 그 능숙한 기법과 균형있는 조형미로도 주목되지만, 그 특이한 형태는 더욱 눈길을 끈다. 이 사사자석탑은 창건주 연기의 효성을 나타낸 것이기에 효대()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원통전 앞에는 네 마리의 사자가 이마로 방형()의 석단()을 받치고 있는데, 이를 흔히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제300호)이라고도 한다.

대웅전 앞의 계단 아래에는 양식을 달리하는 동서 양탑이 있다. 보물 제132호인 구례 화엄사 동 오층석탑은 보물 제133호인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에 비하여 아무런 조각과 장식이 없고, 단층기단()으로 되어 있다. 서탑은 1995년에 해체하여 보수되었는데, 이때 진신사리와 더불어 47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 가운데는 신라시대에 조성된 필사본 다라니경과 불상을 찍어내는 청동불상주조틀 등이 있었다.

장륙전의 사방 벽은 화엄석경()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보물 제1040호인 이 구례 화엄사 화엄석경은 의상이 조성한 것이라는 전승이 있지만, 화엄사가 세워진 경덕왕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 석경은 불행히도 임진왜란의 병화로 장륙전이 불탈 때 파괴되어 많은 파편만이 남아 있다. 석경의 크기는 흔히 볼 수 있는 방전(:네모난 벽돌) 정도이고, 사방 벽에 고정할 수 있는 홈이 아래위에 있다. 글자체는 쌍계사 진감국사비( )를 닮았다.

화엄사 영산회 괘불탱은1653년(효종 4)에 조성된 것으로서, 1997년 국보 제301호로 지정되었다. 이 밖에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인 구층암석등과 교지(에게 하사) 1매, 예조사격() 1매, 예조홍각대사첩() 1매, 겸팔도총섭첩(), 예조대선사각성첩() 1매가 있다.

그리고 인조 하사 어석() 1건, 인조 하사 가사() 1령, 인조 하사 어작() 1대, 선조 어필각본() 1권, 선조 하사 서산대사발우〔西〕 1좌, 선조 하사 서산대사 향합() 1건, 각황전중건상량문(殿) 1매, 각황전삼여래사보살복장기(殿) 1축, 고종(), 인조 14년간 『화엄사사적()』 1책 등이 있다.

3. 산내 암자

이 절의 부속 암자는 신라 경덕왕 때에는 81개나 되었다고 한다. 이 밖에도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는 원소암()·청련암()·적기암()·은무암()·은선암()·백련사()·도선굴()·연기암()·보적암()·내원암()·봉천암()·문수암() 등의 상당히 많은 암자들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거의 모든 암자가 없어지고, 구층암()을 비롯한 금정암()과 지장암() 등의 세 암자만이 있을 뿐이다.

구층암에는 탑신 전면에 여래좌상을 조각한 3층석탑과 석등·배례석 등이 있고, 천불을 모신 천불보전(殿), 선실(), 요사 등의 건물이 있다. 1562년 설응()이 창건한 금정암에는 조선 고종 때에 세운 칠성전(殿)과 요사가 있고 관세음보살()을 모셨다. 1959년 원응()이 창건한 지장암의 본전인 보광전(殿)에는 석가모니불을 봉안하였다. 절 일원이 명승 제64호로 지정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구례 화엄사 [求禮 華嚴寺]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도사 자장암  (0) 2017.03.01
홍룡사  (0) 2017.03.01
밀양 표충사  (0) 2017.03.01
운문사  (0) 2017.03.01
운문사 북대암  (0) 2017.03.01

관련글 더보기